ETF(Exchange Traded Fund)란 무엇인가?
ETF란 특정 지수의 성과를 추적하는 인덱스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주식처럼 거래 할 수 있는 펀드입니다.
- 지수를 추적하는 인텍스 펀드입니다.
- 주식처럼 쉽게 거래 할 수 있습니다. ETF는 펀드지만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고, 상품에 종목코드를 가지고 있어 주식처럼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 간편합니다. ETF는 각 종목의 비중, 보유수량, 가격을 실시간 공개합니다.
단일종목 ETF(Single Stock Etf)란 무엇이냐?
보통 ETF는 지수를 추적하고, 주식 또는 채권을 단일, 혼합으로 10종목에서 20종목으로 구성하면 ETF를 판매 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의 경우 여러종목을 혼합하는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한 종목의 주식 또는 채권으로 ETF를 구성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예를 들어 IT 종목으로 ETF를 구성할 때, 애플,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으로 ETF를 구성하나 단일종목 ETF는 애플 하나의 종목으로 ETF를 구성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그냥 미국주식에 바로 투자가 더 편하지 않을까?
맞습니다. 단일 종목 즉 애플이나 구글 하나의 주식에 투자를 한다면, 2022년 한국은 직접 투자가 가능 합니다. 그래서 단일종목 ETF의 경우 편한 투자 방법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왜 단일종목 ETF가 필요한가?
단일종목의 변동성 장세에서 투자자들에게 다양한 옵션을 제공합니다. 바로 레버리지 설정, 반대매매, 공매도 등 기관투자자들만 가능한 투자전략을 단일ETF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투자 기회를 얻게 되었습니다. 단기 매매를 통한 이익 실현, 그리고 특정 회사의 이벤트를 대응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에게 좋은 투자 대안이 될 것 같습니다.
미국 상황은?
8일 뉴욕 증시에는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단일종목 ETF 6종이 거래 시작 되었습니다. 이 상품들은 하루 수익율에 1.5배 추종 레버리지 3종과 인버스 3종으로 출시 되었습니다.
앞으로 더 많이 출시 될 것 같습니다. 미국 에너지기업인 엑손모빌, 셰브론, 코노코필립스, 등 인버스(-1배), 레버리지(1.5배) ETF가 출시 예정으로 3분기 또는 4분기에 시장에 등장 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추가로 60 ~ 80종 정도 출시 예상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한국은 금융투자업규정 7-26조 성장지수펀드의 구성하는 종목이 반드시 10종목 이상(국채 등은 3종목 이상) 구성해야 합니다. ETF의 경우 지수별로 10종목씩 최소 20종목으로 자산구성내역( PDF)를 해야합니다만 이 제한 규제를 완화된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이 지난달 30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혼합형 ETF도 주식과 채권을 합해 10종목 구성이 가능해 졌습니다. 현재 삼성전자, 테슬라, 애플 등 단일종목 ETF의 출시가 심사 대기중입니다. 하지만 미국처럼 레버리지, 인버스 등 옵션은 법 개정이 필요하여 단순 해외투자 정도에 그칠 것 같습니다.
한국에서 단일종목 ETF의 출시로 유리한 곳은 연금계좌 등에서 투자를 할 수 있어 조금 더 공격적인 투자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완전 단일종목 ETF가 아니어서 수익율이 조금 다를 수도 있고, 단순 주식투자로 직접 주식을 매입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 잘 확인하시고 투자 선택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최근 단일종목 ETF의 판매가 많아지고 한국에서도 판매 준비중이어서 알아보았고, 이런 투자도 있는 것을 알고 한 번 쯤 투자 대상으로 넣었으면 하여 글로 남깁니다.
저도 투자 초보의 경우 레버리지, 인버스 등 용어도 어렵고, 실제 수익 구성도 어려운 것이 사실인데, 간접 투자로 레버리지나 인버스에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으로 보여 괜찮은 대안 같습니다.
'이런저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만장 477 롱 블랙.cafe (3) | 2022.11.21 |
---|---|
트라이엄프 트라이던트660 수리 (0) | 2022.10.24 |
카페 소풍농월을 들리다.Cafe (0) | 2022.09.18 |
썸데이페스티벌(SOMEDAY FESTIVAL)을 가다.go (0) | 2022.09.06 |
아이패드 블로그 글쓰기는 불가능 합니다. (0) | 2022.08.20 |